[뉴스특보] 코로나19 국내 누적 확진자 7천 명 넘어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오늘로 7천명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사망자도 49명으로 늘었는데요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권영진 대구시장이 비협조적인 신천지 교인에 대해 오늘 중 진단검사를 받으라고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. 전수조사는 막바지 단계에 들어서면서 확진자 수가 주춤하고 있는 양상입니다. 앞으로 전망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노인요양시설에서 또 무더기 집단 감염이 확인됐습니다. 특히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경산에서는 복지시설 5곳에서 52명의 확진자가 나왔는데요. 이 같은 소규모 집단감염이 확산하는 이유는 뭐라 보시나요?<br /><br /> 경증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 지정을 놓고 일부 지역 주민이 반대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주거지나 관광지와 붙어 있다며 대규모 확산 우려를 표한 건데요. 앞선 우한 교민을 수용한 시설과 비교해 어떤 차이가 있나요?<br /><br /> 경증 환자들을 이송할 치료센터 운용이 지연되면서 중증 환자를 치료할 병상 확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현재 대구에는 입원 못하고 있는 중증 환자도 다수 있는데요. 이런 문제,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가 잇따라 숨지고 있습니다. 중대본은 기저질환과는 별개로 고연령 자체가 하나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. 그렇다면 중증환자 분류 범위를 좀 더 확대할 필요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19도 임신부 감염 사례도 나왔습니다. 보건당국은 태아로의 수직 감염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는데요. 임신부가 백신을 맞을 경우 태아에 항체를 전달할 수 있는데 바이러스는 다르게 작용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임신부에 대한 코로나19 치료는 다른 환자와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 건가요? 복용하는 약물부터 차이를 둬야 할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확진 판정을 받은 승무원도 나왔습니다. LA행 비행기 안에서 확진자와 접촉 후 감염됐는데요. 비행기가 밀폐공간이지만 강제 환기 시스템이 잘 돼 있어 감염 우려가 낮다고 알려졌었는데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인가 봐요?<br /><br /> 확진자가 21명 발생한 미국 크루즈선에 한국인 4명이 탑승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코로나 검사 전까지 격리될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요. 일본의 사례를 겪었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보기만 할 순 없을 것 같아요?<br /><br /> 중국에서 일일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내려갔습니다. 반면 전 세계 확진자는 더 늘어나 10만 명이 넘었는데요.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사망률이 치솟고 있습니다. 코로나19 확산세가 언제까지 유지될까요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코로나19가 계절마다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다시 말해 코로나20, 코로나21이 나올 수 있다는 건데요. 독감처럼 치료제와 백신 개발을 지금부터 서둘려야 할 것 같은데요. 국내 연구에는 진척이 있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